Home 전문정보 논문 유통 및 소비
제목 돼지고기 저지방부위의 소비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게재년 2013 년
주저자명 이수형
학술지명 건국대학교
키워드 저지방부위소비촉진, 돼지고기저지방부위, 비선호부위, 돼지고기, 저지방부위, 분산분석, 촉진전략
문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내 용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 비선호 부위의 수급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비선호 부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돼지고기 소비실태 조사와 비선호 부위 소비요인 분석을 통하여 비선호 부위 소비활성화 방안을 도출해 보았다.우리나라 소비자의 돼지고기 소비성향은 부위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매우 크다.소비자가 가장 좋아하는 부위는 삼겹살,목살,갈비이며 이들 부위가 돼지 한 마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5%이다. 이에 따라 선호부위의 수요에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여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전지,후지,안심,등심 등과 같은 저지방부위(비선호부위)는 돼지고기 생산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재고량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양돈 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30대는 40대 50대에 비하여 돼지고기 저지방을 구입 시 건강과 맛을 위해 구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는 30대의 웰빙을 중요시 하는 식습관 변화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가족 수가 많을수록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를 구입하는 이유가 높은 영양가와 다양한 조리법 때문에 소비한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연령대가 높은 소비자층은 다양하지 못한 조리법으로 인해 맛에 있어 만족도가 떨어져 소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가족 수가 많을 수록 적은 지방으로 인해 저지방 부위를 소비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30대는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의 소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저지방 고기의 우수성을 홍보하거나 품질을 고급화해야 한다고 답하였고 30대와 40대는 가공제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답하였다.또한 자녀의 나이가 어릴수록 가공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소비를 촉진 시키는 데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소비자의 연령과 자녀의 나이가 어릴수록 돼지고기 가공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선호도는 돈까스(5.09),탕수육(4.83),햄(4.82),베이컨(4.74),만두(4.68),소시지(4.64),동그랑땡(4.19)순으로 나타났다.1)소비촉진 방안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첫째,가공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는 것 다음으로 순위가 높았다.이에 따라 국가 및 양돈업계에서는 새로운 가공제품 개발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
다.
둘째, 특히 30대의 소비자들은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를 소비할 시 영양소와 맛에 더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그들을 대상으로 하여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돼지고기 및 가공품에 있어서 품질을 고급화하는 것을 우선으로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 자녀를 둔 30~40대 소비자층들은 홍보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다고 분석되었으므로,이들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가공제품을 TV 나 백화점·대형마트·편의점,언론매체에 홍보를 하는 것이 소비 촉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또한 홍보를 할시 저지방 부위를 활용한 가공제품의 질적 우수성과 좋은 맛을 부각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 2
제3절 연구의 구성 4
제4절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에 대한 선행연구 5
제2장 국내 양돈산업 및 수급현황 8
제1절 국내 양돈산업 현황 8
제2절 양돈 사육호수 및 두수 9
제3절 국내 돼지고기 전체 수급현황 11
제4절 부위별 소비형태와 가격격차 12
제5절 수·출입 현황 15
제6절 우리나라의 돼지고기 소비의 문제점 18
제3장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21
제1절 연구모형 21
제2절 가설설정 22
제3절 조사설계 24
제4장 실증분석의 결과 26
제1절 표본의 특성 26
제2절 돼지고기 소비 행태 35
제3절 측정도구의 신뢰성분석 40
제4절 가설검정 41
제5장 결론 67
제1절 본 연구의 시사점 67
제2절 저지방부위 소비촉진 전략 68
참고문헌 70
부록 72
ABSTRACT 77

 

원문보기 원문보기